러시아 해킹 암시장서 韓 쇼핑몰 접속 정보 판매 <br />익명성 보장 '다크웹'…어떤 정보인지 알 수 없어 <br />판매된 개인정보, '랜섬웨어' 등 범죄에 이용 <br />국정원, 랜섬웨어 대응 TF 조직…민간기업과 공조<br /><br />러시아 해킹 정보 암시장에 올라온 글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 온라인 쇼핑몰의 접속 정보를 경매에 부친 건데 시작가는 290달러에, 440달러에 낙찰됐습니다. <br /> <br />특수 브라우저로 접속해 익명성이 보장되는 이른바 '다크웹'의 특성상 정보를 파는 사람도 사간 사람도 알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얼마나 많은 정보가 넘어갔는지조차 불투명합니다. <br /> <br />[서상덕 / S2W Lab 대표 : 철저히 익명성이 보장되는 게시판…. 탈취한 데이터나 공격하는 도구들을 은밀하게 사고파는 장소로도 많이 쓰입니다. 마약이나 음란물 거래도 많고, 해킹에 관련된 공격 도구나 획득한 데이터 작물 거래….] <br /> <br />이렇게 해커들이 사고판 개인 정보는 '랜섬웨어' 공격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'랜섬웨어'는 사용자 컴퓨터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이를 풀어주는 대가로 돈을 요구하기 위한 악성 코드를 말하는데, 이메일 등으로 악성 코드가 내포된 첨부 파일을 보내 시스템을 공격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랜섬웨어 공격으로 지난 5월에는 한 배달대행업체가 12시간 동안 발이 묶였고, 지난해 11월에는 백화점 영업이 중단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에서는 송유관 관리업체가 공격받아 석유 가격이 폭등했던 것도 대표적인 사례입니다. <br /> <br />[문종현 / 이스트시큐리티 대응센터장 : (최근에는 개인보다는) 정확하게 돈을 낼 만한 사람들을 표적 삼아서…. 대기업을 공격을 한다거나, 아니면 정부 기관을 공격한다거나, 사회기반시설, 국가 기반시설을…. 이메일로 들어오는 것 조심해야 하고, 보안 업데이트 철저히 잘하고….] <br /> <br />랜섬웨어 피해가 잇따르면서, 미국은 관련 수사를 테러 공격에 준하는 수준으로 격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원격근무 등 사이버 공간에 대한 의존도가 커지면서 사이버 안보가 더 중요해진 상황!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우리 정부 역시 국정원이 민간기업과 공조해 랜섬웨어 대응을 위한 T/F를 꾸리고, 미국과 사이버 위협 공동 대응을 위한 워킹그룹을 출범시키는 등 적극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한연희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071909530968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